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금리인상 용어 알기,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by 야망호랑이 2022. 9. 20.
반응형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논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개최는 모든 사람의 관심 대상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어느 정도 올리기로 결정했느냐에 따라서 우리나라 시장도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금리가 우리나라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이 글의 마지막에 링크를 걸어 두었으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오늘은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비율에 따라서 불리는 용어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우리나라의 영향 정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선언 이후 많은 나라가 돈을 풀어 경기 방어에 나섰습니다. 그러다 보니 돈이 시장에 많이 풀려 유동성이 증가하게 됐습니다. 유동성이 증가하면 주택이나 주식 구매에 나서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주택, 주식 가격도 오르고 더불어 물가도 오르죠. 그러다 보면 인플레이션 늪에 점점 빠지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되면 미국 연준에서는 시장의 유동성을 줄이기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하게 됩니다.

 

1. 베이비 스텝

베이비 스텝이라는 용어는 기준금리를 0.25%씩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말로는 소폭 조정이라고 바꾸어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베이비 스텝보다 소폭 조정이라는 표현이 더 이해하기 쉽죠? 기준금리 인상의 속도를 가속하기 어려울 때 베이비 스텝, 소폭 조정을 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 포인트를 기본 조정 단위로 하고 있습니다. 2022년 올해 한국은행은  이례적으로 4, 5, 6, 8월 네 차례 베이비 스텝을 밟아 기준 금리를 올렸습니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넘어선 데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진 상황이라 줄인상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미국도 기준금리를 더 올릴 예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2. 빅 스텝

 

빅 스텝이라는 용어는 기준금리를 0.5%씩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말로는 대폭 조정이라고 바꾸어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폭 조정의 두 배인 대폭 조정, 이해하기 쉽죠?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통상적 수준을 넘어서 그 두 배에 해당하는 0.5% 포인트 상승하도록 결정했다는 것은 그만큼 금리 인상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배경을 바탕으로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및 시장 자금 유동성을 조절이 시급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으로 통상적 금리 인상 수준을 넘어서는 빅 스텝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데요, 이럴 경우 투자 시장은 얼어붙기 시작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며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에 대해 빅 스텝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달러 환율에 한국은행이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이유는 환율 상승이 경제 성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당장 물가 상승 제어가 어려워지고 무역적자 폭을 키우는 등 지표에도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3. 자이언트 스텝

자이언트 스텝이라는 용어는 기준금리를 0.75%씩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말로는 광폭 조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연준은 28년 만에 자이언트 스텝의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기업은 조달 금리가 높아지고 가계는 이자 부담이 늘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도 연준이 기준금리 '자이언트 스텝'에 나선 것은 인플레이션이 심상치 않은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자이언트 스텝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것은 울트라 스텝이라고 합니다. 자이언트 스텝과 울트라 스텝으로 기준금리가 조정되면 주식시장은 조정받는 가능성이 커지니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2.08.18 - [재테크]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개념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개념

대출 이자가 줄어들면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고, 예금 이자가 줄어들면 이자 소득이 줄어들어 이자생활자의 소비가 위축됩니다. 반대로 대출 이자가 늘어나면 이자 부담이

younotalone.tistory.com

 

반응형

댓글